러-우 전쟁 이후 러시아 자동차 시장, 중국 중심에서 다시 흔들리나

한국자동차연구원 산업분석실은 9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변화된 러시아 자동차 시장 구조와 향후 전망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자동차 시장은 글로벌 브랜드의 철수 이후 중국 브랜드 중심의 수입 구조로 재편됐지만, 최근 러시아 정부가 자동차 수입 억제 정책을 강화하면서 중국 브랜드의 시장 지배력에도 흔들림이 감지되고 있다.
■ 전쟁 이후 러시아 자동차 시장, 현지 생산 → 수입 중심 전환
전쟁 발발 이전인 2021년 러시아 자동차 시장은 현대차그룹이 점유율 1위였으며, 르노·토요타 등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쟁 이후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들이 철수하면서 시장은 급격히 중국 브랜드 중심의 수입 시장으로 전환됐다.
2024년 기준, 러시아 내 신차 판매의 55%가 수입차이며 이 중 80%가 중국 브랜드다. 반면 2021년 80%에 달하던 현지 생산 비중은 2024년 45%로 급감했다.
■ 러시아 정부, 중국 견제하는 수입 억제 정책 연이어 도입
러시아는 재활용 수수료 인상, EAEU 통관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 병행수입 제한 강화 등을 통해 수입차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 재활용 수수료는 2024년 10월 70~85% 인상, 2025년 1월 추가 인상됨
· EAEU 역내 통관가액 축소 신고를 막기 위해 2025년부터 가격 검증 시스템 운영
· 병행수입 허용을 제한하고, 중국 브랜드에 대해 형식승인(OTTS)을 의무화
이러한 조치는 중국 브랜드의 무분별한 저가 수입차 진출에 제동을 걸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실제로 2025년 1~2월 중국의 對러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으며, 중국차의 러시아 내 판매도 동기간 17% 감소했다.
■ 글로벌 제조사, 재진출 모색하나 불확실성은 여전
전쟁 종식 논의가 이어지며 현대차·르노·토요타 등 글로벌 제조사의 재진출 가능성이 조명되고 있지만, 정책·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러시아 정부는 외국 기업의 재진출 조건으로
· 러시아 현지 합작
· 기술 공유
· 현지 생산 및 유통망 구축
· 해당 기업 모국의 對러 제재 해제
등을 제시하고 있어 재진입의 문턱은 높아졌다.
또한, 현지 소비자들은 여전히 중국 브랜드의 품질과 내구성, A/S 체계에 대한 불신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글로벌 브랜드에게는 중장기적으로 차별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시됐다.
■ 결론 및 시사점
한국자동차연구원은 "러시아 자동차 시장은 전쟁, 제재, 정책 등 다양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고위험 시장"이라며 "글로벌 제조사는 단순 철수/재진출 여부를 넘어, 시점·방식·협력 구조별 다양한 전략 시나리오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 브랜드의 한계가 노출되고 있는 현 상황은 고품질과 강력한 A/S 네트워크를 갖춘 브랜드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제조사들의 중장기 전략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출처 : 한국자동차연구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EV 트렌드] 테슬라, 신형 모델 Y 6인승 출시 가능성 해킹으로 들통조회수 1,206 2025.06.19. 오토헤럴드
-
한국타이어, 일렉트리파이 엑스포 LA 참가...신제품 ‘아이온 HT’ 최초 공개조회수 740 2025.06.19. 오토헤럴드
-
[공수전환] 쏘렌토 · 싼타페 · 그랑 콜레오스 Vs 액티언 '가성비 하이브리드 대결'조회수 987 2025.06.19. 오토헤럴드
-
현대차 아이오닉 5 N, 파이크스 피크 인터내셔널 힐 클라임 신기록 도전조회수 570 2025.06.19. 오토헤럴드
-
'수요 감소 재고 증가' 테슬라 텍사스 기가팩토리 두 달 만에 다시 중단조회수 455 2025.06.19. 오토헤럴드
-
잘 팔리면 뭐하나… 렉서스 ES300, 30대 중 1대 꼴로 도난 ‘보안 구멍’조회수 564 2025.06.19. 오토헤럴드
-
기아, K5·K8 2026년형 모델 출시…합리성 강화한 ‘베스트 셀렉션’ 신설조회수 770 2025.06.19. 오토헤럴드
-
기아, 지오영과 PBV 활용 친환경 의약품 물류 생태계 조성 MOU 체결조회수 429 2025.06.19. 오토헤럴드
-
미국산 부품 쓴 혼다 · 어큐라 리콜... '제멋대로 움직이는 페달 때문'조회수 495 2025.06.19. 오토헤럴드
-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혹한기 테스트 '극저온 무시한 주행거리 최적화'조회수 356 2025.06.19. 오토헤럴드
-
KGM, 액티언 하이브리드 사전 계약 '도심 주행 최대 94% 전기 모드'조회수 669 2025.06.19. 오토헤럴드
-
도요타 황당 부업, 車 넘기면서 '예비 키' 빼 돌리고 분실하면 비용 청구조회수 600 2025.06.19. 오토헤럴드
-
모터사이클 라이더 대상 ‘혼다 모터사이클 익스피리언스 데이’ 실시조회수 390 2025.06.19. 오토헤럴드
-
영국, 2026년부터 자율주행 서비스 시범 운영 돌입… 업계, 정부 조치 환영조회수 284 2025.06.19. 글로벌오토뉴스
-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글로벌 주도권 강화…BYD, 테슬라 제쳐조회수 298 2025.06.19. 글로벌오토뉴스
-
블룸버그의 테슬라 자율주행 보고서에 대한 미국 내 비판 여론 거세조회수 332 2025.06.19. 글로벌오토뉴스
-
아우디, 중국 내 최첨단 전기차 생산 시설로 현지화 및 지속 가능성 강조조회수 369 2025.06.19. 글로벌오토뉴스
-
다임러 트럭 & 볼보 그룹, 상용차 소프트웨어 혁신 위한 합작 투자 '코레투라' 출범조회수 295 2025.06.19. 글로벌오토뉴스
-
중국 니오, 유럽 시장 확장 가속화…유통업체 중심 판매 전략으로 전환조회수 272 2025.06.19. 글로벌오토뉴스
-
포니닷에이아이, 홍콩서 7세대 로보택시 공개… 자율주행 시장 선도 박차조회수 162 2025.06.19. 글로벌오토뉴스